공부방개원노하우n

수시전형 적성고사 실시하는 대학교 - 1

학원노 2017. 9. 22. 15:14




수시전형 적성고사 실시하는 대학교 - 1










적성고사 이란.  

국어, 영어, 수학 3과목에 한해 총 40~60문항이 출제됩니다.


EBS 교재와 연계 출제되며 교과별 기본공식이나

개념만 숙지하면 합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수험생들의 부담도 적은 편이기에 

내신등급이 좋지 않은 중하위권 학생들에게 

좋은 기회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전형입니다.

실시 대학 : 12개 대학 

선발 인원 : 총 4,882명 모집 

2018학년도 적성고사 실시 대학교

12개 대학교 

( 가나다 순 )



가천대학교 적성고사 


인문과 자연이 통합되어 출제되고, 학생부 60% 적성 40% 로 선발 

인문계 모집단위는 국어가 4점 수학 영어가 3점이며 

자연계 모집단위는 수학이 4점 국어 영어가 3점입니다. 


수능 80% 정도의 난이도로 출제되며

교과적성인만큼 교과과정을 반영해서 출제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적성고사


적성 40%, 교과내신60% 합산

총점순이며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

(국어, 수학, 탐구(사/과 2과목평균) 중 1개 영역 3등급이내 또는 영어 2등급 이내 


인문계 - 국어, 영어 

자연계 - 영어, 수학

각 과목당 20문제씩 총 40문제, 시험시간은 80분 


반영 내신 : 인문 - 국어, 수학, 영어, 사회 

자연 - 국어, 수학, 영어, 과학 

(학년별 가중치는 없음) 






삼육대학교 : 2017학년도부터 적성고사를 실시, 


2018학년도에는 적성전형 

→ 교과성적우수자전형으로 바뀌어 실시됩니다.


교과적성우수자전형은 학생부 60%, 적성고사 40%를 반영

문제는 국어, 수학 각 30문항씩이며, 시간은 60분입니다.


객관식 문제이며 인문계, 자연계에 따라 

국어, 수학 각 30문항씩이며, 시간은 60분입니다.


객관식 문제이며 인문계, 자연계에 따라

국어, 수학 배점이 달라집니다. 






서경대학교 적성고사


학생부 60% + 적성고사 40% 반영

(수능최저학력기준 없음)


난이도는 고교 교육과정 범위에서 출제

40문항을 60분안에 풀어야 하므로 빠르고 

정확하게 푸는것이 중요하다,



성결대학교 적성고사 

2018학년도 학교생활기록부 반영방법의 변경 


학년별로 3과모씩 총 9과목 반영 → 학기별 4과목씩 총 20개 과목 반영

교과별로 반영 비율은 


공학계열 : 국어 10%, 수학 30%, 영어 30%, 사회/과학 30%

나머지 계열 : 국어 30%, 수학 10%, 영어30%, 사회/과학 30%

(학년별 가중치 없음)


- 국어, 수학, 영어, 사회/과학 중 석차등급이 높은 과목을

학기별로 1과목씩 선태그


반영하여 지원계열별로 교과 반영비율이 다름

적성고사 / 국어B, 수학, 각 25문항씩이며 

시험실시 시간은 60분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적성고사

2018학년도 신설.


적성고사를 보는 일반전형은 학생부교과전형으로 

교과성적과 전공적성평가를 합니다.

전형에 따라서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있으니 확인해야 합니다.


학생부교과 60%, 적성평가 40%를 반영

학생부 반영은 계열과 학부에 따라 다릅니다.


공학계열 - 국어, 수학, 영어, 과학 전 과목 반영

경영학부 - 디자인학부, 국어 수학, 영어, 사회 또는 과학에서 전과목 반영.


국어 30문항, 수학 30문항 총 60문항이 출제되며

영어는 촐제되지 않습니다.

적성고사의 난이도는 수능 80% 수준으로 

EBS 연계된 문제가 출제 (70분동안 60문항)






한성대학교 적성고사 


2018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적성우수자전형을 확대하여 모집합니다.

국어 30문항, 수학 30문항 / 총 60분 


교과 60%와 적성고사 40%를 반영, 수능최저학력기준은 적용하지 않음

(단과별로 배점비율은 다르다고 하니 확인이 필요합니다.)


수학에 자신있는 학생은 공과대,

국어가 자신있다면 인문/사과대가 유리,

(학생부 배점은 등급간 점수차가 크지 않음) 







이 글은 학원노, 학원관리의 원장노하우의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