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국어 공부법 작은 TIP
지난해 수능 영역을 보면 지문의 길이도 길어지고
문제도 다소 어렵게 출제된 것을 볼 수 있어요.
지문이 길어졌기 때문에
평소 독해 능력이 떨어졌던 수험생들은
글을 읽는데 많은 시간이 걸렸고
정답을 맞히기도 힘들었을 겁니다.
이러한 분위기는
2018학년도 수능에도 유지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수능 대박을 위해서는 미리미리 대비를 해줘야 합니다.
지문이 길어졌다고 당황할 필요는 없습니다.
독서 지문을 읽을 때는 단락별로 중요한 내용(주제),
핵심어 등을 빠르게 정리하면서 읽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긴 글을 읽다 보면 자연스럽게
집중력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러한 상황이 초래되지 않도록
평소 시간을 재면서 문제풀이를 한다면
보다 집중력 있게 글을 읽을 수 있을 겁니다.
문법 영역은 출제되는 경향이 대부분 교과서에서 다룬 개념입니다.
문법을 공부할 때는 국어 교과서에 나온
문법 개념 및 원리, 주요 문법 요소 등을
꼼꼼히 정리해주시기 바랍니다.
이후 실전 문제를 통해
개념을 정리해보는 방식으로 공부를 해주면 됩니다.
문장의 성분 및 구조, 문장 표현,
표준어 규정과 한글 맞춤법, 표준 발음법 등은
예시 자료까지 꼼꼼히 보면서 공부해주세요!
문학 영역은 보통 교과서에서 다룬
문학 관련 개념, 표현, 작품 이해와 감상과
관련된 내용을 바탕으로
문제가 출제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매년 출제되는 문제는 다르지만
기본 개념 및 원리는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목표,
정리 학습 등을 통해 기본 원리를 정리하고
다양한 작품을 공부해나가면 됩니다.
현대 시와 고전 시가는 화자의 정서 및 태도,
구체적인 표현 요소 등을 위주로 공부하고
현대 소설과 고전 산문은 인물의 성격 및 심리,
서술상의 특징을 중심으로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희곡, 시나리오는 대사의 특징, 인물 간의 갈등 양상 등을
중심으로 공부해주세요!
화법, 작문 영역은 교과서에 나온 개념을 정리합니다.
화법에서는 개념 정리 후 세부 내용으로
의사소통 전략, 대화와 협상, 토의와 토론,
발표와 연설 등과 관련된 개념 및 원리를 정리해주세요.
작문의 경우 작문의 특성 및 계획,
내용 조직, 표현, 퇴고 등과 관련하여
작문의 원리는 구체적으로 적용한 문제가 출제되기 때문에
교과서 작문 관련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며 공부해줍니다.
독서 영역은 무작정 글을 많이 읽는 것보다는
글의 취지를 파악하면서 읽어야 합니다.
글쓴이가 어떤 의도로 글을 썼는지
꼼꼼히 살펴보는 것도 중요하고요.
분석적인 독해 능력 갖기가 정말 중요해요!
처음에는 글을 분석하며 읽는 것이
어렵고 따분하겠지만
이러한 과정을 거치게 되면
독해 감각이 커지고
독해 시간도 점점 줄어드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겁니다.
인문, 사회 지문은 글쓴이의 가치관, 관점을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고
과학, 기술 지문은 글에서 설명하는
주요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하는데 신경 써야 합니다.
이 글은 학원노, 학원관리의 원장노하우의 글입니다.
'공부방개원노하우n'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학년도 특별전형 어떻게 달라질까? (0) | 2017.09.21 |
---|---|
2018학년도 수능 제2외국어 (0) | 2017.09.20 |
학원,공부방,교습소 컨설팅이요~ (0) | 2017.09.18 |
고2 수능 미리 준비하는 방법 (0) | 2017.09.17 |
수능 국어문법문제 TIP (0) | 2017.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