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수능 분야별 국어공부법 알아보기
1. 화법의 경우에는 말하고 듣는 전략을 세우고
방법을 터득해야하는 과목입니다.
항상 반복이 되는 문제유형을 학습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대본의 경우에는 효율적으로 파악하고 검토를 해서
정답을 유추하는 연습을 많이해햐 합니다.
2. 작문의 경우에는 글쓰기의 절차
그리고 요령에 대해서 공부를 해야하는 과목입니다
계획을 세운 다음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을 한다음
표현하고 고쳐쓰는 훈련과 이해가 제일 많이 필요한 과목입니다.
각 단계별로 연관된 문제를 정리하고 많이 풀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작문의 경우에는 어려운 과목이기 때문에
인강 그리고 첨삭 과외를 추천합니다.
3. 문법의 경우에는 개념과
용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많이 필요한 과목입니다.
국어의 구조와 국어의 규범
그리고 국어의 역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과목입니다.
특히나 국어의 구조가
학생들이 제일 많이 어려워하는 파트중에 하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실생활에서
문법을 자주자주 생각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독서파트도 똑같이 단계별과 분야별의 문제의 특성과
유형을 파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실적 독해와 추론적 독해
그리고 비판적독해의 단계별 전형적인 출제 요소와
문제유형에 익숙해 지는 것이 좋습니다.
지문의 유형과 주제의 세부분야와
대표적인 문제유형을 정리해 두는 것도
좋은 방법중 하나 입니다.
이해를 하기 어려운 학생의 경우에는
국어선생님이나 과외 선생님 그리고
학원선생님께 여쭤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5. 문학의 경우에는 구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과목입니다.
현대시조 고전시가 그리고
현대소설과 고전소설 수필 등의 구성에 대해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현대시와 현대수필 ,고전시가와
고전수필 등의 혼합형 문제에 대비를 해야합니다.
문학의 경우에는 관련된 작품을 엮어서
읽는 방식으로 공부를 한다면
문학대비를 확실하게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운문문학의 경우에는 화자의 태도
그리고 작품의 이해와 시어 의미 기능을 파악하고
전개방식을 파악하며 읽어보는 연습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산문문학의 경우는 인문의 유형 그리고 성격을 파악하는 것과
갈등의 주원인과 종류를 파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극문학의 경우에는 인문의 성격을 이해하고
갈등의 구조와 선건의 전개양상을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수필의경우에는 작가의 관점과 태도를 파악하는 것이 좋고
주제를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글은 학원노, 학원관리의 원장노하우의 글입니다.
'공부방개원노하우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고학년 2학기 수학, 어떤 내용을 배우고 왜 중요할까? (0) | 2017.08.21 |
---|---|
교습소의 평수에 대한 질문 (0) | 2017.08.20 |
교습비를 시간대비로 책정하는데 (0) | 2017.08.14 |
교습소 준비 중인데요 (0) | 2017.08.12 |
공부방 선생님 vs 방과 후 학교 선생님 (0) | 2017.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