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에도 학원'…학원 휴일 휴무로 해결될까
"토·일요일까지 학원을 다니는
무한경쟁의 쳇바퀴에 브레이크를 걸어야 한다."
시민단체를 주축으로 '학원휴일휴무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좋은교사운동 등이
정부에 학원의 휴일 휴무를 요구하는 가운데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지난달 한 언론 인터뷰에서
"학원휴일휴무제를 진지하게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처음으로 중앙 정부 차원에서
긍정적인 검토 가능성을 시사한 셈이다.
그러나 제도를 둘러싼 찬반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단체마다 여론조사 결과도 제각각
학원휴일휴무제는 지난해
대선 정국부터 본격적인 이슈로 불거지면서
시민단체와 학원측의 치열한 논쟁이 이어졌다.
양측은 저마다 여론조사 결과를 내세우고 있는데,
결과는 정반대다.
시민단체 연합체인 '쉼이있는교육 시민포럼'은
학원휴일휴무제의 찬성이 66.7%, 반대가 13.9%로 조사됐다며
의견 유보를 제외하면 83%대 17%로
찬성이 5배 가까이 많다고 주장한다.
서울시의회가 2017년 한국사회여론연구소를 통해
19세 이상 성인 100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다.
반면 한국학원총연합회는
지난해 여론조사기관에 의뢰해
초중고 학부모 1443명을 조사한 결과,
찬성이 13.4%에 그친 반면
반대가 86.5%에 달했다고 주장한다.
학생 1073명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반대가 84.2%로 압도적이었다.
조사 주체와 방식에 따라 결과가 제각각인 셈이다.
제도 효과에 대한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
학원측은 휴일 강제휴무를 도입하면
오히려 개인과외 등 음성적인 사교육이 늘어나는
'풍선효과'가 나타날 것이라 주장한다.
실제로 2010년 이명박 정부에서
학원 심야영업을 규제하면서
개인과외 교습자가 2010년 8만939명에서
2016년 11만7283명으로 증가했다는 것이다.
박표진 한국학원총연합회 사무총장은
"전두환 정권의 과외금지조치에서도 그랬듯이
부유층은 학원이 없어도 과외를 통해
사교육 혜택을 받지만
중산층 이하는 학원의 보완학습 기회를 잃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시민단체에서는 이러한 주장이 과장됐다고 지적한다.
구본창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국장은
"개인과외 교습자 증가는 방문학습 시장이 커지면서
나타난 현상일뿐"이라고 말했다. 구 국장은
"학원 대신 과외로 바꾸는 학생은 최상위권 일부일 뿐,
대다수 학생이 과도한 학습에서 벗어나는
분위기를 만들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학원휴일휴무제가 위헌적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학원측은 이 제도가 학원 운영자의
'직업 수행의 자유'(헌법 제15조)를 침해하고
학생, 학부모의 교육권(헌법 제10조, 제36조)을
제한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제도를 찬성하는 측에서는
청소년 건강 보호라는 공익을 위해
기본권의 제한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청소년 심야 게임 셧다운제나
대형마트 의무 휴일과 같은 조치가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56만원 주말반 대신 150만원 과외할 것"
학생·학부모들의 의견도 갈린다.
서울의 한 일반고 2학년인 김모(16·서울 구로구)양은
평일에는 수시모집을 대비하기 위해 내신 공부를 하고,
주말에는 수능 대비를 위해 학원 주말반을 다닌다.
김양은 "학원휴일휴무제가 도입되면
부모님께 죄송하지만 과외를 시켜달라고 할것 같다.
지금은 국영수 3과목에 월 56만원이 드는데,
과외로 바꾸면 150만원 이상이 든다"고 말했다.
고2 학부모 진모(44·서울 서대문구)씨는
"평일엔 시간이 부족해 주말에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는데,
학원이 없다면 과외라도 빡세게 돌린다는 게
엄마들 생각"이라고 말했다.
진씨는 "좋은 대학 가고싶은 마음은 똑같다.
사교육비 부담만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반면 학원휴일휴무제 찬성 학부모들은
주말에 쉬는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서라도
제도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중3 학부모 남형은(44·서울 은평구)씨는
"주말이면 엄마들이 은평구에서
대치동 학원까지 아이를 실어 나른다.
앞자리에 앉겠다고 아침 7시부터 서두르기도 한다"고 말했다.
남씨는 "부모도, 아이도 힘들지만 남들이 하는데
뒤떨어질 수 없으니 어쩔 수 없이 하는 것이다.
이걸 개인의 선택이라고만 할 수는 없다"며
휴일 휴무제를 찬성했다.
고2 학부모인 백선숙(51)씨는
"주말에 학원을 가는 아이들이 주중이라고 쉬겠느냐.
휴무제가 있어야 주말은 쉬는 것이라는
인식을 갖게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http://news.joins.com/article/22344865
'공부방개원노하우n'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 첫째 주, 교문위 소관 의안은? (0) | 2018.02.14 |
---|---|
예비고1 전형선택 가이드 - 1 (0) | 2018.02.13 |
"이제는 자유학기제를 넘어 자유학년제다" (0) | 2018.02.11 |
내신 평가방법, 제대로 알고 준비하기 (0) | 2018.02.09 |
교육부 개정안 유예, 수능 먹구름…학생은 벼락치기 (0) | 2018.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