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초등국어준비에 대해 알아봅시다 - 2
4. 초등학교 가기 전에 한글을 다 깨우치고 가야 하나요?
초등학교 가기 전에 굳이 한글을 다 깨우칠 필요는 없어요.
아이가 엄마의 말을 듣고
그 것에 맞는 단어를 말할 수 있으면 되고요.
또 글자를 보고 맞는 것을 찾는 것.
한글을 몰라도 아이들이 모양이 똑같은 걸
찾는 것 정도만 할 수 있어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그 후에 초등학교 두 달 전쯤부터,
서서히 한글을 가르쳐 보시는 걸 시도하는 게 의미가 있을 때죠.
5. 한글을 다 깨치기는 했는데
철자를 틀릴 때가 있어요.
아이가 편지를 써주는데 틀린 걸 잡아주는 게
적절한 대응인지 궁금해요.
편지인데 맞춤법을 지적하면 상처를 받겠죠.
저는 이렇게 했으면 좋겠어요.
어머님이 아이가 편지를 써줘서
얼마나 기뻤는지를 잘 담아서
짧은 답 편지를 써 주세요.
그리고 ‘네가 써준 글자 중에
철자법을 바꿔야하는 것을 몇 가지 적어봤어’
라고 해서 수정한 것이랑 같이 보내주시면
아이도 선물 받은 느낌이 들고,
그걸 볼 때도 마음이 편할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혹시 너무 많이 고쳐야 한다면
그렇게까지는 하지 마시고요.
제가 보기에는 3-5개 이내가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6. 초등학생 최대 집중력이 몇 분 정도인가요?
15-20분입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이 한 가지 작업을
20분 이상 하는 것을 싫어합니다.
‘아이가 싫어하면 중단해야 할까요?’
라고 하시는데요.
중단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어떤 방법으로 해야
흥미를 느낄까에 대해서 어머님이 고민을 하시고
연구를 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보통 초등학교 수업이 40분이라고 하셨는데요.
초등학교 1학년 때는 선생님이 절대로 한 가지 주제로 안 합니다.
보통 3가지- 최소 2가지 활동을 합니다.
왜 그러는지 생각을 해보면 이제 이해가 되시죠?
시간 되신다면 학교 수업 참관을 가셔서 확인해보세요.
7. 초등학생의 집중력이 15-20분이라면,
현재 7세들은 몇 분을 공부해야 하나요?
공부를 안 하면 좋죠. 놀면 제일 좋습니다.
그런데 뭔가 교과적인 것을 가르치고 할 때,
한 번에 20분을 넘지 않게 해 주세요.
그리고 이 나이 때는
최소한 공부한 만큼은 놀아야 하고요.
되게는 공부한 것의 2배는 놀아야 합니다.
그러니까 목표를 높게 가지거나
어려운 것을 가르치지 않으셨으면 좋겠고요.
오히려 이 시기에는 자기가 좋아하는 것에
몰입해서 하는 경험을 키우는 것이 더 중요한 때입니다.
그 역량을 키우고 경험을 하게 해 주는 것이
초등학교 가기 전에 더 중요하고요.
이 글은 학원노, 학원관리의 원장노하우의 글입니다.
'공부방개원노하우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공부방 창업조건 알려주세요~ (0) | 2017.10.10 |
---|---|
오피스텔 교습소로 가능한가요 (0) | 2017.10.08 |
과유불급, 부모의 지나친 독서교육이 스스로 읽기를 방해한다 (0) | 2017.10.05 |
수시전형 적성고사 실시하는 대학교 - 2 (0) | 2017.10.04 |
원어민 고용시..TIP (0) | 2017.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