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노하우n

2018 고입전형의 특징

학원노 2017. 6. 15. 11:37






2018 고입전형의 특징








전국 17개의 교육청이 

2018학년 고등학교의 입학전형 계획안이 발표가 됨으로 

고등학교의 입시가 시작이 되었습니다 

고등학교의 입시에 따라서

 대학교의 입시에 영향이 높아 졌습니다 

따라서 고등학교의 진학의 선택을 고민하는 

중학생이 많아 질 것 같습니다 


그런 학생들을 위해서 2018학년도 

고등학교의 입시 특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교육에 다양성을 높이는 전형이 실시가되고 

그리고 확대가 됩니다 

서울과 경북지역에서는 다양한 소질과 적성을 보고 

선발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2016학년 부터 서울은 성적이 중요하지 않고 

소질이나 적성으로 평가 방법을 바꿔서 

전체 학생 수의 37%를 뽑았는데 

이제는 더욱 더 퍼센트를 높일 계획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다문화 가정을 위해서 전형을 하나 신설했습니다 

한국인과 외국인이 화합할 수 있게 

그리고 문화적 교류를 만들어 주겠다는 전형입니다


이외의 마이스터고,특성화고에 취업을 원하는 학생들에게도 

특별전형이 확대됩니다 

취업희망자 특별전형은 13학년도에는 2%였으나 

작년에는 24%로 많이 올랐습니다 

그래서 이번년도에는 더욱 올라갈 것이라는 예상을 합니다



이번의 고등학교 입학전형의 특징은 사회적,교육적인 약자를 위해 

배려를 해주겠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약자에게 교육적인 복지가 많이 커졌습니다 

예를 들면 사회통합전형은 몇없었지만 이제는 새로 생기거나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서울교육청에서는 

서울국제고의 전체 전형의 정원이 30%가 사회통합전형이였습니다 

이것은 작년과 비교 했을 때 2배가 늘어난 수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서울의 25개 구에서 1명씩 뽑는 기회균등전형도 생겼습니다 

그래서 특정한 지역만 집중이 되어서 가는 것이 공정하지 않다고 판단을 해 

그렇게 되지 않기 위해서 

서울 전체로 퍼트려서 균등하게 한다는 전형 입니다


원래는 사회통합전형은 특목고나 자사고에 집중이 되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년도에는 지역이 확대가 되어서 

서울권 경기권 인천의 마이스터고에서는 

학교의 선발되는 학생의 5~10%를 사회통합전형으로 뽑습니다


학교를 다니기 어려운 학생들을 위해서 배려 대상자가 

학교를 잘 갈 수 있게끔 전형을 확대를 하였습니다 

일반고에 진학을 할 때 

우선순위를 증중환자와 농어촌 거주자를 우선수위에 넣습니다 

그리고 경상북도교육청에서는 

모든 고등학교에서는 신청을 하면 

사회통합전형에 지원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전&전라남도 지역은 

이번년도에 사회통합전형을 시범운영으로 발탁이 되었습니다 

시범운영이 학생들에게 좋은 전형인지를 파악하고 점차 늘어날 것이라고 합니다



일반고등학교의 진학은 비평준화인 지역은 시험을 치르고 

평준화된 지역은 시험을 보지 않았지만 

요즘 학생들이 고입선발 시험에 

부담이 많이 된다는 의견이 있어서 

시험이 사라지는 지역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제는 시험을 보는 곳이 점차 사라졌지만 

경상북도와 울산광역시 제주도의 지역은 

고입선발고사를 폐지하려고 했다가 

이번년도 까지는 진행을 하는 것으로 바뀌어서 

고입시험을 준비해야 될 것 같습니다


내신성적이 산출하는 평가를 경기&부산지역에서는 

폐지한다고 하였습니다 

검정고시로 통과한 학생과 특성화중학교의 학생들의 

내신 평가를 위한 시험이였으나 

이또한 부담이 된다고 판단을해서 폐지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비교평가 없어짐으로 부산의 특성화중학교 

부산국제중학교,브니엘국제예술중학교의 졸업자들은 

고등학교 진학에 불리 할 것 같습니다


이제는 대입뿐만아니라 고입까지도 

준비를 해야되는 상황까지 왔습니다 물

론 예전에도 그랬지만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공부나 학교에 대한 것들이 

계속 타이트하게 바뀔 것이라고 저는 예상합니다 

많은 고입 전형들이 있으니 

원하는 고등학교에 전형을 파악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처 : 입시교육정보포스트









이 글은 학원노, 학원관리의 원장노하우의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