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좋은 수학교육지침
수학은 단계에 맞게 체계적으로 가르쳐야 합니다.
수학은 배우는 순서가 뚜렷한 학문입니다.
예를 들어 수 세기를 배워야 덧셈과 뺄셈이 가능하고,
자연수를 배워야 정수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나의 놀이 과정에서 아이가 받아들일 수 있는
학습의 양은 무궁무진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마다 성장 속도가 다르듯이 학습 인지 속도 또한 다릅니다.
굳이 지금 몰라도 나중에 깨달을 수 있습니다.
생활 속에서, 맥락 속에서 대화하는 것이 스토리텔링입니다.
놀이 방법대로 단순히 놀아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놀이를 하면서 개념에 맞는 질문을 하고,
아이의 생각을 이끌어내는 대화가 중요합니다.
놀이만 할 경우 단순한 활동으로 끝날 수 있지만,
아이와 대화를 통해 특정한 상황을 만들면 재미뿐만 아니라
놀이에 담긴 수학 개념을 다른 상황에서 응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맥락 속에서
수학 개념, 원리, 법칙의 학습을 유도하는 스토리텔링 기법입니다.
아이들과의 대화를 즐깁니까?
간혹 아이와 이야기하는 것을 힘들어하는 부모님들이 있습니다.
일명 ‘눈높이 교육’이라는 말은 아이의 신체적 눈만이 아니라
정신적, 감정적인 눈의 높이까지도 맞춰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런 과정이 잘 이루어졌을 때 학습 효과는 매우 높아집니다.
어른들은 어린아이의 세계를 잊었지만
천천히 되돌려 보면 분명 기억이 나기도 합니다.
아이와 함께 즐거운 놀이와 대화를 위해서는
그 세계의 기억을 떠올려 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먼저 어른이하고 싶은 말을 하지 말고 그 상황에서 아이가 바라보는 것,
아이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을 관찰하여
대화의 주제를 거기에 맞추기 바랍니다.
엄마뿐 아니라 아빠도 참여하거나
다양한 가족 구성원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도 필요합니다.
이해도 중요하지만 복습하듯이 반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학은 이해의 학문이지만 반복해서 연습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수 세기와 기초 연산인 덧셈과 뺄셈 등
이 책의 놀이는 많은 반복을 통해서 연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개된 놀이에는 하나의 예만 보여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수 가르기에서는 5를 2와 3으로 가른 것만 실려 있습니다.
그렇지만 아이들은
5 이외에도 1~10까지 다양한 수들을 가르기 해보고,
또 5도 2와 3뿐만 아니라 1과 4 등으로 갈라볼 수 있어야 합니다.
어떠한 개념을 이해했다면 그에 관련된 개념들을
반복해서 다양하게 경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이 책은 한 권짜리이지만 다양하게 복습하다 보면
책 열 권에 나온 문제를 푼 것보다 더 많은 횟수를 생생하고
재미있게 연습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은 학원노, 학원관리의 원장노하우 냐아, 학성의 글입니다.
'학원개원노하우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습소 하던곳을 인수 받으려면 어디서 알아보나요? (0) | 2017.02.08 |
---|---|
공부방 3년차 성공 개원일지 (0) | 2017.02.06 |
학원비 48만원.. 연체시킨 학부모.... (0) | 2017.02.04 |
학원개원전 설립조건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17.02.01 |
미술심리상담지도사 자격증 아동심리치료사 (0) | 2017.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