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노하우) 무학년제 수업 경험 사례
이 글은 다음카페 학원관리의 원장노하우의 글입니다.
아래주소로 가시면 더 많은 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학원관리의 원장노하우 카페 바로가기↓
http://cafe.daum.net/hakwwon
무학년제 수업의 성공여부는..........................................
중요한 건… 어떤 걸 하는냐 보단 어떻게 우리학원에 맞게 잘 정착시키냐겠죠
학원장이라면 누구나 교습형태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게 되지만
고민만 하고 과감히 실천하지는 못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제 경험담을 성공사례와 실패사례를 함께 정리해서 올려드리니 참고해보세요 ㅎ
전 2002년부터 동영상강의와 문제은행으로
자기주도학습(플립러닝) 형태의 수업을 진행 했었습니다.
학생들은 동강을 스스로 듣고 학원에선 학생들이 들었던
동강단원에 대한 문제풀이를 통해 개인별 약점처방 학습을 했었습니다.
한 반 최대정원이 10명 이하였으며
학년별 반 구성이 아닌 자율적 시간표 구성으로 학년을 섞어서 수업을 했습니다
당시 동강 듣는 비율은 잘 관리해도 70% 수준이었습니다.
강사들은 평상 시 강의는 전혀 하지 않았습니다.
(시험기간은 기출문제로 강의함)
1:2 개별반도 있었습니다.
(입학고사 후 일정 수준 이하의 학생은 그룹 반 편성을 하지 않았습니다)
당시 무학년제 반 편성은 학부모에게 대단한 화제거리였습니다.
무학년제 반은 각자의 진도 수준에 맞게 진도가 나갔으며
학생이 열심히 하면 할수록 진도가 빨리 나갔죠
획일적인 진도 방식보다 상당히 반응이 좋았고
학생들 성적향샹율도 개인과외 보다 높을 정도로 아주 높았습니다.
개원 후부터 3~4년까지 원생이 꾸준히 늘었으며
한번도 인원이 줄었던 적이 없었습니다.
2년 후 월 중소형 학원으로서 월 매출이 6천이 넘었고 순이익도 상당했었죠.
그러나 얼마 후 강사들이 학년별 반 배정을 요구하기 시작했습니다.
시험대비 기간 학년별 반 재편성 때문에 힘들어 했었거던요
나름 자신감도 있었고 태만한 생각에
학년별 반 편성으로 바꿨는데 얼마 후부터 원생들이 줄기 시작했었죠.
사교육 경감대책 원인도 있었구요.
학생들이 줄어드니 페이도 줄어들고 강사들도 자주 바뀌게 되었구요
학원의 색깔을 잃어버린 겁니다.
강사들이 획일적인 강의를 하게 되었고…
동일하게 진도가 나갔고…문제풀이 시간이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 당연히 성적향상율이 떨어지고 퇴원은 높아지고 수강율은 떨어졌죠
이제 획일적인 강의수업은 과감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전 다음 두 가지 방법 중 학원에 맞는 하나를 선택하시길 원합니다.
1.동영상강의 + 문제풀이 집중학습(무학년 수준별 진도 관리)
2.주1회 강의 + 문제풀이 집중학습(무학년 수준별 진도 관리)
전 개인적으론 2안을 권해 드립니다.
동강은 학생들이 잘 안듣죠…그리고 강사의 강의도 어느 정도는 꼭 필요하죠.
중요한 건 문제풀이를 어떻게 관리하느냐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개인별 수준에 맞는 문제를 적절히 풀리는가
•개인별 오답에 대한 처방과 유사문제로 철저하게 쿨리닉 하는가
•개인별 학습상황을 철저하게 분석하여 데이터 관리 하는가
•학생들의 학습결과에 대한 분석지를 학부모에게 제공하는가
•개인별 진도관리 후 학부모에게 지속적인 상담을 하는가 등….
원장님….고민하시고 노력하시는 만큼 좋은 결과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꼭 대박나시길 바랍니다.
제 글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실지 모르겠지만
한가지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이 글을 읽는 다른 원장님들 중
누구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라는 마음에 글 올려봅니다.
추운 날씨 감기조심 하세요 ^^*
사진 클릭하시면 카페로 이동합니다
'학원개원노하우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리 노하우 ) 중등수학 교재 난이도 (0) | 2016.01.18 |
---|---|
관리 노하우) 주변에 학원 밀집지역 학원개원 괜찮을까요?? (0) | 2016.01.16 |
관리 노하우 ) 강의실 임대에 대한 문의드립니다 (0) | 2016.01.12 |
관리 노하우 ) 학원비 지원대상 아동 받아보신 원장님~ (0) | 2016.01.10 |
관리 노하우 ) 독해 어떻게 하면 잘 하게 할 수 있을가요? (0) | 2016.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