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방개원노하우n

2020학년도 학생 선발 방식에 변화가 큰 대학은?

학원노 2018. 8. 13. 13:57




2020학년도 학생 선발 방식에 변화가 큰 대학은?









대학의 학생 선발 방식 변화는 대입을 준비하는 

학생과 학부모에게 늘 까다로움을 안겨준다. 

하지만 이 변화를 잘 살핀다면 오히려 기회가 될 수도 있다.

2020학년도 주요 대학의 선발 방식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자.


◇전형별 모집 인원의 변동이 큰 대학(서강대, 성균관대)

전국대학을 기준으로 하면 2020학년도에도 

여전히 수시 비중은 상승한다. 

그러나 인서울 주요 대학은 정시 비중이 다소 커졌다. 

그 중에서도 서강대와 성균관대의 경우 

정시 선발 비율을 눈에 띄게 높였다. 

타 대학들이 1% 내외로 정시 비중을 확대한 것과 달리 

서강대는 약 10%, 성균관대는 약 13%가 상승한다.


하지만 두 대학 모두, 수시에서 

학생부종합 전형의 영향력은 오히려 더 높아졌다. 

논술과 실기 전형의 모집인원은 큰 폭으로 줄었지만, 

학생부종합 전형은 큰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전히 두 대학으로 진학하기 위해서는 

교과 성적뿐 아니라 수행평가, 동아리, 독서 등의 

교육 연계 활동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수능최저학력 기준 폐지(서강대, 연세대, 한국외대) 


수시에서 수능의 영향력은 계속해서 약해지고 있었다. 

2020학년도에도 이런 경향성은 커지고 있는데 

그 중 서강대 학생부종합[학업형], 

연세대 학생부종합[활동우수형]과 [논술전형], 

한국외대 학생부교과 전형은 수능최저학력 기준을 폐지한다. 

서강대 학생부종합[학업형](2019학년도 학생부종합[일반형])은 

수능최저학력 기준이 높고, 또 자기소개서 등의 

서류를 수능 이후에 제출했기 때문에 

그간 높은 지원율을 유지했었다.  


수능 점수를 확인하고 

지원 여부를 다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최상위권 학생들이 전략적으로 지원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수능최저학력 기준의 폐지는 

학생들의 지원심리를 더욱 높아지게 만들 수 있으므로 

지원 시 유의해야 한다.  


연세대 논술전형은 수능영어가 절대평가 되며 

모든 수능 과목을 수능최저학력 기준으로 활용해서 

매우 높은 기준이었고, 

논술 일정을 수능 이후로 변경하며 

성균관대와 일정이 겹치는 등 지원심리를 

약하게 할 만한 요소가 많았음에도 

2018학년도에 높은 지원율을 보였다. 

2020학년도에 연세대 논술 전형의 

수능최저학력 기준 폐지와 

성균관대의 논술 선발 정원을 대폭 줄인 것을 고려하면 

지원율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수능최저학력 기준 강화(건국대, 이화여대) 


수능최저학력 기준이 높아지는 대학은 많지 않다. 

건국대 논술전형은 그 동안 수능 이전에 논술고사를 치르고, 

또 수능최저학력 기준이 적용되지 않았었다. 

하지만 2019학년도부터 

논술 고사 일정을 수능 이후로 변경했고, 

2020학년도에는 수능최저학력 기준을 적용한다. 

또, 이화여대 미래인재전형 자연계열의 경우에는 

수능최저학력 기준이 다소 높아진다. 

같은 전형 내 타 모집단위가 탐구영역을 

2개 영역 평균을 사용하던 것에서 1개 영역만 사용해 

그 기준을 낮춘 것과 비교했을 때, 이례적이라고 할 수 있다.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우연철 평가팀장은 

“2020학년도 대입을 치를 고2 학생들은 

학업에 집중하는 것이 대입 전략을 세우는 것 보다 

우선되어야 한다. 

다만, 본인이 목표하고 있는 대학의 전형을 살필 때에는

단순히 2020학년도의 전형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그 전년도와의 전형 방식과의 

차이를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글은 학원노, 학원관리의 원장노하우의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