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아이들에게 수학 기본 핵심 개념 이해시키기
우리아이들에게 수학 기본 핵심 개념 이해시키기
1. 두 가지 방식의 수 세기
수학은 하나의 개념을 알기 위해서
반드시 선행되는 개념을 알아야 하는 학문입니다.
이를 계열성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수학의 제일 처음은 무엇일까요? 바로 수 세기입니다.
수 세기에는 수 읽기도 함께 병행되어야 합니다. 수 읽기는 언어입니다.
수학 기호인 숫자를 언어로 바꿔 표현하는 것입니다.
영어나 중국어의 수 세기보다 우리나라의 수 세기는 조금 더 복잡합니다.
우리는 수 세기(읽기)를 두 가지 방식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하나는 ‘하나, 둘, 셋…’과 같은 우리말 수 세기이고,
또 다른 하나는 ‘일, 이, 삼…’과 같은 한자어 수 세기입니다.
수 세기 자체가 이중구조로 되어 있어 아이들은 모두 익혀야 합니다.
두 자리 수까지는 우리말 수 세기를 많이 하지만
세 자리 수부터는 한자어 수 세기만 하게 됩니다.
세 자리 수를 나타내는 우리말인
‘온(百, ‘일백 백’의 옛말)’과 같은 말이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물론 언어이기 때문에 우리말과 한자어를 함께 사용하기도 합니다.
언어는 문화와 시대에 따라서 달라지고,
그에 따라 수학 언어인 수 읽기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 세기에 따른 수 읽기를 두 가지로 반복해서 연습하는 것이
수학을 처음 시작하는 아이들에게는 중요한 과제입니다.
2. 덧셈, 뺄셈 가르치기
수 세기를 반복하다 보면 수의 순서를 익히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수의 순서는 기초 연산인 덧셈, 뺄셈으로 연결됩니다.
수가 커지는 순서대로 수 세기를 하다 보면 3보다 1
큰 수는 4, 3보다 2 큰 수는 5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이것은 바로 덧셈과 연결됩니다.
반대로 수가 작아지는 순서대로 거꾸로 수 세기를 하면
뺄셈을 익힐 수 있습니다.
수 세기를 하다 보면 2씩, 3씩 뛰어 세기를 해보기도 합니다.
‘2, 4, 6, 8, 10…’ 2씩 뛰어 세는 것은 2의 곱셈,
‘3, 6, 9, 12…’ 3씩 뛰어 세는 것은 3의 곱셈으로 연결됩니다.
이렇게 수 세기는 수학의 가장 기본이 되는 연산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이 글은 학원노(학관노),학원관리의 원장노하우의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