헷갈리기 쉬운 입시 용어
○ 표준점수
자신의 원점수가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점수로서
영역별, 과목별 난이도 차이를 감안해
상대적인 성취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계산한 점수다.
시험이 어렵게 출제돼 평균이 낮으면 표준점수가 높고,
문제가 쉬워 평균이 높게 형성되면 표준점수는 낮아진다.
수능에서 원점수가 아닌
표준점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수험생마다 선택 영역이 다르고,
영역별 난이도 차이에 따른
유‧불리를 보완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 백분위
자신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학생이
얼마나 있는지를 퍼센트(%)로 나타낸 수치다.
만약 자신의 표준점수가 90점이고
백분위가 80이라면, 90점보다 낮은
표준점수를 받은 수험생들이
전체의 80%라는 뜻이며,
이것은 즉 자신이 상위 20%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0~100점으로 표시되는 백분위는
동점자가 많아 우수 학생 변별력이
표준점수보다는 떨어진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어렵게 출제된 영역의 점수를 잘 받았다면
표준점수를 반영하는 대학을,
다소 쉬웠던 영역의 성적이 우수하다면
백분위를 반영하는 대학을 지원하는 게 유리하다.
표준점수가 변별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정시모집에서 상위 일부 대학들은
표준점수로 지원자를 판단하기 때문이다.
○ 등급
표준점수를 기반으로 수험생을
1~9등급으로 구분해 표시한다.
상대평가에서는 △상위 4%까지 1등급
△4~11%가 2등급 △11~23%가 3등급
△23~40% 4등급 △40~60% 5등급
△60~77% 6등급 △77~89% 7등급
△89~96% 8등급 △96~100% 9등급으로 표시된다.
동점자의 경우 상위 등급으로 기재한다.
다만, 영어, 한국사 등 절대평가에서는
원점수 기준으로 100점부터 10점 단위마다 등급이 나뉜다.
'학원개원노하우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습소에서 강의실의 문을 꼭 설치 해야하는지요 (0) | 2018.11.30 |
---|---|
개인과외교습소 신고 (0) | 2018.11.29 |
교습소와 공부방의 차이가 뭔가요? (0) | 2018.11.25 |
개인과외 사업자등록 질문드립니다 (0) | 2018.11.24 |
개인과외교습(공부방)신고하면 실사나오나요? (0) | 2018.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