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활동기록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요령
교육부 훈련 29호(2014. 1. 16 일부개정)
제15조의 2에 따르면
‘독서활동상황’이란 제목하에
‘① 중·고등학교의 개인별·교과별
독서활동상황은 독서활동에
특기할 만한 사항이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학기말에 입력한다.
② 독서분야 및 읽은 책,
독서성향 등 특이사항을
사실위주로 교과담당교사가 입력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담임교사도 입력할 수 있다’고 기재돼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과담당교사는 해당 교과 관련 독서활동에 대해
교과별로 500자 이내로 학기말에 적을 수 있고,
담임교사는 독서활동에 대해 특정교과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기존의 영역별
(인문, 사회, 과학, 체육·예술
4개 영역) 구분이 아닌 ‘공통’으로 학기말에 기재한다.
이러한 독서활동상황은 학생의 관심 분야,
학문의 기본 소양, 이해수준, 독서를 통한
학생의 변화 등을 보여줄 수 있는 것이다.
독서활동상황에는
학생의 관심 분야를 잘 나타낼 수 있는
책을 위주로 기재하는 것이 좋다.
책의 내용을 장황하게 기록하기보다는
학생의 이해수준, 독서를 통해 변화된
학생 모습의 관찰자 시점에서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입학사정관에게 신뢰를 준다.
학생이 다양한 관심 분야나
관심주제를 가지고 있다면
이러한 다양한 학생의 관심이
잘 표현될 수 있는 방법으로
항목화해 기록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 글은 학원노, 학원관리의 원장노하우의 글입니다.
'학원개원노하우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습소나 공부방이나 모두 사업입니다. (0) | 2018.05.26 |
---|---|
논술 중심전형 의의와 전략 (0) | 2018.05.23 |
개인과외 가정에서 할때 비용게시하라는데? (0) | 2018.05.20 |
대입 대비 학생부 탐구 - 독서 (0) | 2018.05.19 |
교습소 교육청 제출서류중에요~ (0) | 2018.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