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학점제…잠자는 교실 깨울까, 입시 혼란 불러올까
대학수업처럼 진로에 따라 고교 수업도 선택해 이수
지난 11일 대표적인 ‘진보’ 교육자
김상곤 전 경기도 교육감이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으로 내정되면서
문재인 대통령의 교육공약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 가운데 문 대통령의 대선 교육공약 1호 ‘고교학점제’는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일선학교에 도입될 전망이다.
고교학점제란 대학생들이 수업을 선택하듯이
고등학생들도 원하는 과목을 직접 선택해 듣는 제도로
미국·영국 등 선진국에서 채택하고 있는 제도로
학교가 짜준 시간표대로 학생들이 수업을 듣는 기존 방식과 완전히 다르다.
고교학점제의 가장 큰 장점은 잠자는 학생을 깨울 수 있다는 것이다.
학생이 직접 선택한 수업이기 때문에 수업 참여도가 높고
흥미 있는 분야의 수업을 들으면서
학생의 수업 성취도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 교육 관계자는 “제대로 실행만 된다면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처럼
장기적으로 학교 밖 경험을 학점으로 인정하는 것까지
추진된다면 학생 개개인의 진로희망과 적성, 수준에 맞춘
학습을 실현할 수 있는 이상적인 제도”라며
“학생의 학교 부적응 문제 완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선결 조건 많아 “치밀한 시뮬레이션 필요할 것”
하지만 우려되는 문제도 많다.
당장 과목수가 늘어나면서 교사 부담이 커진다.
일반고를 기준으로 한 학기 50여개인 교과목 수를
100개 이상으로 늘려야 하기 때문에
교사의 업무량은 두 배 이상 늘어난다.
또 학생들이 교과선택 때
대학입시의 유불리를 따져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
일부 과목의 수강신청 경쟁이 치열할 수 있고,
수강신청에 실패한 과목은 못 듣게 될 수 있다.
대학교에서 일어나는 수강신청 ‘전쟁’이
고등학교에서 일어나지 않는다는 보장도 없다.
온라인 수강신청 시스템이 없으면 선착순 전쟁이,
온라인 시스템이 있으면 매크로(자동입력 프로그램) 전쟁이 발발할 수 있다.
한국교총 김재철 대변인은 “선결 조건이 많이 필요한 정책”이라며
“교과교실제든 고교학점제든 치밀하게 준비하지 않으면 교실에 혼란만 가져올 수 있다.
선결 조건을 완비하고 정교한 시뮬레이션을 한 뒤 도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고교학점제를 위해서는 많은 과목이 개설돼야하고,
그러려면 교사와 교실이 많이 필요하다. 시설 확충도 필요할 것”고 말했다.
특히 “교사 수급은 부전공 교사를 포함해도
양성에 시간이 걸리는 일인데,
학생들이 원하는 과목을 개설하고 교사가 없으면
방과후학교처럼 외부강사를 부를 수 밖에 없다”며
“그러면 사교육 교사가 공교육으로 유입되는데,
교육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사람이
학교로 들어오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도·농 간 격차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김 대변인은 “도시는 그래도 다양한 과목의 교사를 수급할 수 있지만,
농촌·도서 지역은 교사가 없어 개설 과목에도 한계가 생길 것”이라며
“교육부는 주변 학교끼리 연합하라고 하지만,
인근학교가 3~4km 씩 떨어져있는데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대안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아울러 학교 간에 연합해 수업을 진행할 때 학생 관리도 해결할 문제다.
네 단계 거쳐 순차적으로 시행…최종적으로 ‘무학년제’ 도입
교육부에 따르면 고교학점제는 크게 네 단계를 거쳐 추진된다.
먼저 내년에 적용되는 새 교육과정부터
학생 참여 수업과 과목 선택권이 확대된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교과교실제(과목별 교실 이동 수업)’를 강화하고
특수 과목은 주변의 여러 학교가 함께 운영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다음으로는 기존에 출석일수만 채우면 되는 방식에서
대학에서처럼 일정 성적 이상을 받아야만
해당과목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하고
학점을 부여하는 방안이 적용될 예정이다.
과목 이수를 위한 성취평가는 절대 평가 방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 단계로 온라인 수업의 활성화,
마지막으로 학년 구분 없이 과목을 선택하고,
이수 학점만 채우면 졸업할 수 있는 ‘무학년제’까지 도입하면
고교학점제가 완성된다.[데일리안 = 이선민 기자]
원출처 : http://www.dailian.co.kr/news/view/639743/?sc=naver
이 글은 학원노, 학원관리의 원장노하우의 글입니다.
'관리노하우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습소 명칭관련 TIP (0) | 2017.06.30 |
---|---|
교습소 설립시 환경조건 (0) | 2017.06.29 |
개원한지 10일이 되었는데 전화 한통화도 안오네요 (0) | 2017.06.23 |
교습소 명칭 및 과목 명시 안하면 최대 200만원 과태료 (0) | 2017.06.22 |
수시 면접준비에 관한 작은 TIP (0) | 2017.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