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배정에 대한 TIP
최근 대학입학 수시전형에 대한
비중이 높아지고
비교과 활동이 중요해지면서
중학교부터 차별화된 학교 교육과정 계획과
운영을 실시하는 곳으로 배정되고
싶은 학부모님들의 마음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중학교 배정과
선택을 위해 꼭 알아야 할 사항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차별화된 학교 교육과정의 운영과 다채로운 비교과 활동
공립학교라면 학교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의 큰 틀은
대동소이하지만 학교장의
교육경영 철학이나
학교 구성원들에 따라 그 밀도와
내실은 큰 차이가 있습니다.
가장 중요하게 확인해야 할 학교 교육과정은
학사일정 (교과, 비교과 일정)
연간 수업시수 계획
학교 주요 특색사업
청소년단체 개설 현황 등 입니다.
꼭 대입을 위한 준비과정이 아니라
자녀에게 보다 폭넓은 교육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데 있어 중학교 선택은
매우 중요합니다.
학군 내 중학교들의 학교교육과정
운영과 실적, 구체적인 비교과 활동,
교내 수상 활동 등은
학교 알리미 서비스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2) 교육부 및 교육청 지정 연구학교의 선정
연구학교는 특정 교육분야의
주제를 중심으로 1년에서 2년의 기간동안
집중적인 예산투입과
교육과정 및 도구의 개발,
행사 진행 등을 실시합니다.
연구학교의 선정은 시도교육청에 따라
발표시기가 다르며 일반적으로 학년말이나
학년초에 발표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연구학교는 1~2년을 주기로 재배정되기
때문에 입학부터 졸업까지 모두
해당되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다만 연구학교로 지정된 곳은
막대한 예산이 지원되고
이에 대한 감사, 보고가 일반학교에 비해
철저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구학교 지정기간 동안 상당히
밀도 높은 교육활동이 진행됩니다.
따라서 학군 내 중학교 가운데
연구학교로 지정된 곳이 있다면
선택의 여지를 마련해두는 것도 괜찮습니다.
3) 사범대학교 협력 교생실습 학교의 선정
중, 고등학교는 인근 사범대학교와의
협력관계를 통해 연구학교와 유사한
방식으로 1~2년을 주기로 교생
실습을 진행하게 됩니다.
학생들에게 교생은 매우 흥미로운
존재이며 새로운 교육도구와
수업방법을 사용하기도 해서
대부분 교생 실습학교 선정을
반기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학부모나 교육전문가의 입장에서
교생 실습학교를 적극
선호하는 분은 드뭅니다.
그 이유는,
교생 실습은 학년별로 1~4주의 주기로
학기별로 진행이 되는데 교생실습이 진행되면
학내 분위기가 상당히
어수선해지기 때문입니다.
예비 교사인 교생들도 학교 현장이
익숙치 않고 학생 지도에 대한 책임감이
현직 교사에 비해 떨어지므로
교생 실습 이후에 교과 교사가
진도를 다시 나가는 경우도
현장에서는 흔히 발생합니다.
교생 실습학교만이 가지는
다양한 장점이 있지만
어수선해지는 학내 분위기 하나만으로
중학교 지원에 대해 고민해 볼
필요는 있습니다.
이 글은 학원노, 학원관리의 원장노하우의 글입니다.
'교습소노하우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습소 개원 프랜? 맨땅에헤딩? (0) | 2017.06.16 |
---|---|
2018학년도 서울 고입 일정 및 자사고 입시 변화 내용 (0) | 2017.06.14 |
고등내신 어떻게 하시나요? (0) | 2017.06.11 |
교습소 간판 문의드립니다. (0) | 2017.06.09 |
모의고사 93점 맞은 아이가 내신 53점 맞았어요ㅠㅠ (0) | 2017.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