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유형별 상담 길잡이 - 1
1번 유형 유형 “우리아이는 문제가 없어요”
자녀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교사가 아이를 미워한다고 여기는 부모
자녀의 잘못이나 문제를 인정하고 싶지 않은
부모의 마음에 공감하고 이해하려는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유아의 문제 행동을 비난하는 듯한 말투와 태도는 삼가고,
바람직한 유아의 성장을 위해
부모와 교사가 함께 의논하고자 한다는
상담의 의도를 분명하게 전달한다.
상담 시에는 학기초부터 누적된 유아의 관찰 기록 등
구체적이고 장기적인 자료를 가지고 상담하면 도움이 된다.
평소에도 부모에게 유아의 전반적인 원내 생활 모습을 자주 알려주고,
잘한 행동에 대해 인정하고 칭찬하는 등
의사소통을 자주해
아이의 문제 행동만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
2번 유형 “우리 아이는 제가 제일 잘 알아요”
교사나 원을 불신하고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부모
부정적인 태도이기는 하나 자녀교육에 대해
나름대로 열의와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인정하고,
이를 긍정적이고 협조적인 방식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사가
부모를 유아교육의 협조자로 초대하고 존중하며
기꺼이 논의하고자 하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
부모의 의견을 경청하는 한편,
원과 교사의 교육철학과 교육방법을 분명하고
소신 있게 부모에게 피력하고 교사로서의 권위를 지킨다.
이 같은 유형의 부모는
교사의 사소한 실수에도 과민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오해를 살 만한 행동이나 말은 하지 않도록 조심한다.
3번 유형 “전 우리 애를 혼내지 못하겠어요, 선생님이 알아서 해주세요”
자녀에게 권위가 없는 부모
권위적인 부모란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일관된 자세로
원칙을 가지고 훈육하는 부모를 의미한다.
자녀에게 권위가 없는 부모에게는 상담을 통해
부모가 아동을 지도하는 데 있어
권위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부모의 권위가 효과적으로 발휘되기 위해서는
부모-자녀 간의 관계를 재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모 상담에서 교사는 부모가 분명한 기준을 가지고
자녀와의 관계를 조정해가도록 도와야 한다.
이때 자녀를 부모 상담에 참석시키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유아가 참석한 가운데 교사가 부모의 역할에 대해 조언하게 되면,
부모가 예전보다 엄격해진 이유를 이해시켜주고
자녀와 부모의 불필요한 힘 겨루기를 줄일 수 있다.
이 글은 학원노, 학원관리의 원장노하우의 글입니다.
'관리노하우n'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첫 논술고사 어떻게 출제되었나요? (0) | 2017.05.19 |
---|---|
교습소 허가 나중에 문제될까 걱정입니다 (0) | 2017.05.18 |
교습소 오픈준비 A-Z - 2 (0) | 2017.05.14 |
교습소 신고전 주의해야될점 알아보아요 (0) | 2017.05.12 |
교습소 오픈준비 A-Z - 1 (0) | 2017.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