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적별 영어 내신 관리법
1.하위권
하위권 친구들은 사실 기본문법과 기초 단어도 잘 모르는 경우들이 많습니다.
솔직히 영어 하위권 친구들은 문법은 나중에 해야지...
하면서 미루고,
모르는 단어는 책에 동그라미를 쳐 가면서
무조건 외우는 학생들이 많은데,
이렇게 무턱대고 외우는 것보다는
차라리 발음으로 외우시는게 더 편하고 오래 기억에 남습니다.
예를 들어 “apple : 사과”가 아니라
“애플은 사과” 이런 식으로 입으로 먼저 암기 하는 거죠~^^
왜냐면 하위권 점수대의 친구들은 영어스펠링 외우는 것 자체로도
스트레스가 높기 때문에 발음으로 먼저 친숙해지는 것이 좋답니다.
또 독해할 때도 마찬가지죠. 기초가 부족한 상태에서
독해를 무조건 하려고하면 문법도 모르고
단어도 모르기 때문에 막막하기 일쑤!!
이럴 때 영어 하위권 친구들은 영어공부를 지레 포기하는 경우들도 많습니다~
이럴 때는, 영어공부를 바로! 교과서 영어지문부터 보기 보다는
⓵한글로 해석된 내용부터 읽어보고
⓶그 다음 영어 교과서 지문을 보면서
⓷이 문장이 이렇게 해석 되는구나~라고 내용을 이해하면서 읽어보는 게 낫습니다.
이런 식으로 영어 독해량을 늘리는데 초점을 맞추는 거죠!
2. 중위권
영어 중위권 친구들은 이제는 문법을 확실히 잡기 시작해야할 시기입니다.
단어는 어느정도 되지만 문법이 약한 친구들이 많기 때문에
문법을 알아야 완벽한 독해가 가능하다는 것은 명심하고
“한번은 문법을 제대로 뗀다!!” 라는 결심으로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영어문법에 집중하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영어 공부를 더 쉽게 하는 방법입니다^^
간혹 학원이나 과외하면서 문법은 제대로 알려주지 않고
어줍잖은 ‘독해스킬’이라는 것을 가르쳐 주는 곳도 있는데요~
제대로 문법을 이해하지 않고 고득점을 올릴 수 있는
‘독해스킬’이란 절.대.로 없으니,
중위권 성적대의 친구들은 꼭!!
영어문법을 기본부터 차근차근 공부하셔야 합니다!
단, 단순히 내신을 위해서는
학교 교과서에서 나오는 본문 중심으로
그때그때 나오는 문법만을 공부하는 것도 좋을 수도 있겠으나
어차피 수능이나, 더 멀리 대학, 취직을 위해서라면
SAT, TOEFL, GRE등의 실질적인 영어실력이 필요한 것이므로,
장문의 지문을 직독직해 할 만한 실력을 목표로 한다면
미리미리 문법을 제대로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상위권
네네~ 상위권의 학생들이야 문법과 어휘 모두 좋은 편이죠.
사실 상위권 학생들은 영어내신경쟁에서
한 두 문제로 등급이 갈리게 되는데요~~~
때문에 자신이 취약한 유형을 먼저 파악해서 공부하는 것이
상위권 친구들의 효율적인 학습법이 되겠습니다!
특히 영어 상위권 학생들은 영어듣기평가에서
점수를 깎아먹는 친구들이 꽤 있는 편입니다.
이유는 우리나라가 영어 언어권이 아니다보니
읽기와 쓰기는 잘하는데 말하기와 듣기는 성적과 관계없이
취약한 친구들이 있기 때문 이죠^^
영어듣기평가는 영국식 발음보다는 미국식 발음이 잘 나오는데요,
미국식 영어의 특징이 연음을 이용하여
정확한 발음보다는 어물어물 이어지는 발음에다가
강세로 악센트를 주는 식이라
영어가 익숙한 친구들이 아니라면
듣기평가가 조금 더 어렵게 느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평소 영어의 연음과 강세에 대해 자주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매체로 듣기 훈련을 해주어야 하구요~
상위권 학생들은 암기력이 좋은 편이어서, 어
휘도 잘 외우고 독해내용도
어느정도 잘 유추할 수 있는 친구들이 많습니다만
의외로 그리 어렵지 않은 문법 문제나
서술형 문제에서 잘 틀리는 학생들이 많은 편이랍니다
이는 알긴 아는데 정확히 모르기 때문입니다.
어휘공부도 꾸준히 하면서 정확히 모르는 문법이 있다면
꼭 알고 넘어가야 비슷한 실수를 하지 않습니다.
상위권 학생들은 시간을 투자하는 만큼 실력도 향상되니,
더 잘 하려는 막연한 노력보다는 같은 실수를 하지 않도록
오답노트 등을 이용한 구체적인 노력이
더 고득점으로 가는 지름길이라고 생가하시면 됩니다.
이 글은 학원노, 학원관리의 원장노하우의 글입니다.
'학원개원노하우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원내 자습실 활용. (0) | 2017.02.26 |
---|---|
이번에 개원하는데 사용한 비용 공개합니다. (0) | 2017.02.23 |
교습소에서행정직원채용 (0) | 2017.02.19 |
수학강사 페이책정문의 (0) | 2017.02.16 |
교실 2개로 무엇을 가르쳐야 합니까? (0) | 2017.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