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습소노하우n

초등학교 학년별 경시대회 준비 TIP

학원노 2016. 7. 22. 14:10



초등학교 학년별 경시대회 준비 TIP









초등학교 수학경시대회 준비하실 때에는 시험을 앞두고 

갑작스럽게 무엇인가 새로 시작하는 것보다는 

복습하거나 심화로 확장하며 아는 것을 튼튼히 하는 것이 좋으며 

장기적으로 보고 차근차근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큰 시험을 보며 자신의 객과적인 위치가 

어느정도 인지 알아보고 

경험을 쌓으려는 아이가 많기 때문에 

하루에 5-6시간씩 공부하는 것보다는 

실력점검을 목표로 준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들의 경우 

문제푸는 것 자체가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딱딱한 형식의 시험지에 익숙해지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많은 문제를 푸는 것보다는 

하나의 문제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푸는 것이 중요합니다.


초등학교 1학년의 경우 

'수'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기 때문에 

문제를 읽어보고 문제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 

문제를 읽고 자신이 한번 어떤 것을 묻고 있는지 

그림으로 그려보거나 

말로써 설명하며 문제를 이해하는 연습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초등학교 2학년의 경우 3학년 시험에 응시하여 

시험을 볼 수 있는 곳도 있는데요. 

시험보는데 있어서 OMR카드나 

문제 푸는 시관관리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쉬운 문제를 풀고 후에 어려운 문제를 풀면서 

시간 내 문제 푸는 연습도 같이 진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초등학교 4학년에는 다섯자리 이상 수와 

사칙연산과 분모가 같은 분수의 덧셈, 뺄셈을 하게 됩니다. 

초등학교 5학년 시기에는 약수와 배수, 

약분과 통분, 분모가 다른 분수의 덧셈 뺄셈을 하며 

이 시기부터 아이들이 수학을 어려워하게 됩니다. 

초등학교 6학년시기에는 소수와 분수의 관계에 대해 배우면서 

분수와 소수를 사칙연산하는 것을 배우게 됩니다.


초등학교 6학년 이상이 되면 수학경시대회에서 입상하기 위해서는 

수학경시대회 문제 유형을 알고 푸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문제 유형을 외우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표와 그래프나, 문제의 규칙을 찾거나 

문제를 단순화해서 이해하는 등 

한가지 패턴으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풀 때 '왜' 이렇게 푸는지 물어보고 

이유를 스스로 생각해보며 

궁금한 것을 스스로 찾아볼 수 있도록 

이끌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 글은 학원노(학관노),학원관리의 원장노하우의 글입니다.